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2025)

데이터 상세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

우리나라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은 국내 활동(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LULUCF*, 폐기물)으로 발생하는, 교토의정서에서 규 정한 6대 직접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의 배출, 흡수량을 보고한다.
*LULUCF(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
단위: 백만톤 CO2 eq., NO = 배출활동 및 공정이 없는 경우, NE = 산정하지 아니하는 경우, NA = 자연적, 이론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활동 및 공정의 경우, IE = 다른 항목에 포함하여 보고하는 경우, C = 기밀정보인 경우

  • 파일데이터
  • 오픈API
  • 추천데이터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라며,
데이터 자체에 대한 문의는 아래 제공기관의 관리부서 전화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SV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

다운로드

다운로드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로그인하셔서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를 추천받아 보세요

로그인

파일데이터 정보

schema.org DCAT

데이터 개선요청 오류신고 및 문의

데이터 개선요청 오류신고 및 문의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로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파일데이터명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분류체계 환경 - 대기 제공기관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관리부서명 정보관리팀 관리부서 전화번호
보유근거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제36조), 국가 온실가스 통계의 총괄관리에 관한 규정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연간 차기 등록 예정일 2024-12-29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144
확장자 CSV 키워드 국가 인벤토리,온실가스,배출량
누적 다운로드(바로가기)
* 주기성 데이터 포함
5595 다운로드(바로가기) 1359
등록일 2023-12-29 수정일 2023-12-29
데이터 한계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우리나라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은 국내 활동(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LULUCF*, 폐기물)으로 발생하는, 교토의정서에서 규 정한 6대 직접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의 배출, 흡수량을 보고한다.
*LULUCF(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
단위: 백만톤 CO2 eq., NO = 배출활동 및 공정이 없는 경우, NE = 산정하지 아니하는 경우, NA = 자연적, 이론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활동 및 공정의 경우, IE = 다른 항목에 포함하여 보고하는 경우, C = 기밀정보인 경우
기타 유의사항 1. 분야별 관장기관이 마련하는 기초통계(40여개, 390여개 세부자료) 발표가 통상 1년 이상 소요되어 온실가스 통계 산정‧검증에 2년 정도의 시차가 발생 2. 온실가스 배출량 카테고리는 IPCC 1996 Guideline을 따르며, 공란인 영역은 우리나라에서 배출량이 없거나 산정하지 않는 항목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이용허락범위 제한 없음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는 3단계 이상의 오픈 포맷 파일데이터를 오픈 API(RestAPI 기반의 JSON/XML)로 자동변환하여 제공합니다.
오픈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회원 가입 및 활용신청이 필요하며, 활용 관련 문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데이터는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ML JSON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

활용신청 오류신고 및 문의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로그인하셔서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를 추천받아 보세요

로그인

오픈API 정보

schema.org DCAT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로 api형식의 파일데이터 정보 표로 분류체계, 제공기관 등 정보를 나타냄
서비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분류체계 환경 - 대기 제공기관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관리기관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 관리기관 전화번호 1566-0025
보유근거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제36조), 국가 온실가스 통계의 총괄관리에 관한 규정 수집방법
업데이트 주기 연간 차기 등록 예정일 2024-12-29
매체유형 텍스트 전체 행 144
확장자 XML, JSON 활용신청 24
데이터 한계 키워드 국가 인벤토리,온실가스,배출량
등록일 2023-12-29 수정일 2023-12-29
제공형태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원문파일등록)
설명 우리나라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은 국내 활동(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LULUCF*, 폐기물)으로 발생하는, 교토의정서에서 규 정한 6대 직접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의 배출, 흡수량을 보고한다.
*LULUCF(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
단위: 백만톤 CO2 eq., NO = 배출활동 및 공정이 없는 경우, NE = 산정하지 아니하는 경우, NA = 자연적, 이론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활동 및 공정의 경우, IE = 다른 항목에 포함하여 보고하는 경우, C = 기밀정보인 경우
기타 유의사항 1. 분야별 관장기관이 마련하는 기초통계(40여개, 390여개 세부자료) 발표가 통상 1년 이상 소요되어 온실가스 통계 산정‧검증에 2년 정도의 시차가 발생 2. 온실가스 배출량 카테고리는 IPCC 1996 Guideline을 따르며, 공란인 영역은 우리나라에서 배출량이 없거나 산정하지 않는 항목임.
비용부과유무 무료 비용부과기준 및 단위
이용허락범위

이용허락범위 제한 없음

활용 명세

Open API 명세 확인 가이드

Open API 명세 확인 가이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1)

1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2)

2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3)

3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4)

4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5)

5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6)

6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7)

7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8)

8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9)

9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10)

10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11)

11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12)

12 / 13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13)

13 / 13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

로그인하셔서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한 데이터를 추천받아 보세요

로그인

이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

오픈 API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_국립환경과학원 온실가스 검증기관 지정현황

오픈 API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_국립환경과학원 온실가스 검증기관 지정현황

오픈 API

한국지역난방공사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오픈 API

한국지역난방공사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파일데이터

다운로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가스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CO2)

파일데이터

다운로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가스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CO2)

파일데이터

다운로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가스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HFCs)

파일데이터

다운로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가스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HFCs)

파일데이터

다운로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가스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PFCs)

파일데이터

다운로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가스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PFCs)

목록

레이어로 포커스 이동 됨

항목별 코드 조회

항목별 코드 조회
항목명

전체

'+ '

' + jsonObj.evlDcInfo.evlDc + '

'+ ''$("#evlDcList").append(html);} else {alert("저장에 실패했습니다.");}},fn_attentionCallback: function(data) {var jsonObj = JSON.parse(data);if (jsonObj.status === true) { alert("관심데이터로 등록되었습니다."); location.reload();} else { alert("관심데이터 저장에 실패했습니다."); }},fn_attention: function(type) {if (!cmmnDataSetDetailObj.fn_loginChk()) {return;}var dataObj = { "publicDataDetailPk": $("#publicDataDetailPk").val() , "publicDataPk": $("#publicDataPk").val() , "publicDataTy": type , "saveTy": "insert"};dataObj.url = "/tcs/dss/saveAttention.do";cmmnDataSetDetailObj.fn_ajaxCmmn(dataObj, cmmnDataSetDetailObj.fn_attentionCallback);},fn_loginChk: function() {if (cmmnDataSetDetailObj.loginId === "" || cmmnDataSetDetailObj.loginId === null || cmmnDataSetDetailObj.loginId === undefined) {if (confirm("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입니다.\n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location.href = "/uim/login/loginView.do";return;} else {return;}} else {return true;}},fn_saveLike: function() {if (!cmmnDataSetDetailObj.fn_loginChk()) {return;}var likeYn = $("#likeBtn").hasClass("on") ? "N" : "Y";var dataObj = {"likeYn": likeYn,"publicDataPk": $("#publicDataPk").val(),"url": "/tcs/dss/saveLike.do"}cmmnDataSetDetailObj.fn_ajaxCmmn(dataObj, cmmnDataSetDetailObj.fn_saveLikeCallback);}, fn_saveHate : function() { if (!cmmnDataSetDetailObj.fn_loginChk()) { return; } var hateYn = $("#hateBtn").hasClass("on") ? "N" : "Y"; var dataObj = { "hateYn": hateYn, "publicDataPk": $("#publicDataPk").val(), "url": "/tcs/dss/saveHate.do" } cmmnDataSetDetailObj.fn_ajaxCmmn(dataObj, cmmnDataSetDetailObj.fn_saveHateCallback); },fn_saveLikeCallback: function(data) {var jsonObj = JSON.parse(data);if (jsonObj.status === true) {var $likeBtn = $("#likeBtn");if (jsonObj.likeYn === "Y") {$likeBtn.addClass("on");} else {$likeBtn.removeClass("on");}$("#likeCnt").text(jsonObj.likeCnt);} else {alert("좋아요 저장에 실패했습니다.");}}, fn_saveHateCallback: function(data) { var jsonObj = JSON.parse(data); if (jsonObj.status === true) { var $hateBtn = $("#hateBtn"); if (jsonObj.hateYn === "Y") { $hateBtn.addClass("on"); } else { $hateBtn.removeClass("on"); } $("#hateCnt").text(jsonObj.hateCnt); } else { alert("싫어요 저장에 실패했습니다."); } }, fn_attentionUpdate : function() { if (!cmmnDataSetDetailObj.fn_loginChk()) { return; } var param = []; var dataObj = { "publicDataDetailPk": $("#publicDataDetailPk").val() , "publicDataPk": $("#publicDataPk").val() , "deleteAt" : "Y" } param.push(dataObj); $.ajax({ type:"POST", url: '/iim/dps/idm/updateInterestData.json', data : { j_updateDataArray : JSON.stringify(param) } , dataType : "json", success: function(result){ if(result.status){ alert("관심데이터에서 취소 되었습니다."); location.reload(); }else{ alert("{0} 처리에 실패하였습니다."); } }, error: function(xhr, status, error) { alert("{0} 처리에 실패하였습니다."); } }); }}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_20231229 (2025)
Top Articles
Latest Posts
Recommended Articles
Article information

Author: Jerrold Considine

Last Updated:

Views: 6337

Rating: 4.8 / 5 (58 voted)

Reviews: 89% of readers found this page helpful

Author information

Name: Jerrold Considine

Birthday: 1993-11-03

Address: Suite 447 3463 Marybelle Circles, New Marlin, AL 20765

Phone: +5816749283868

Job: Sales Executive

Hobby: Air sports, Sand art, Electronics, LARPing, Baseball, Book restoration, Puzzles

Introduction: My name is Jerrold Considine, I am a combative, cheerful, encouraging, happy, enthusiastic, funny, kind person who loves writing and wants to share m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ith you.